본문 바로가기
투자 입문 & 주식 기본

PER, PBR이 뭐예요? 초보 투자자를 위한 핵심 지표 해설

by 재테크 연구소장 라일라 2025. 6. 7.
반응형

 

안녕하세요, 재테크 연구소장 라일라입니다 😊

 

“이 종목 PER이 낮다는데, 무슨 뜻이죠?”
“PBR 1 이하니까 싸게 거래된다는 말은 맞는 건가요?”
“지표만 보고 투자해도 괜찮은 걸까요?”

 

📌 PER과 PBR은 주식 투자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초 지표입니다.
✔ 기업의 ‘가격이 적절한지’,
✔ 지금이 ‘비싸게 거래되고 있는지’를

 

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주죠.

하지만 이름만 들어봤지, 실제로 어떤 의미인지 정확히 모르는 분들도 많습니다.

 

오늘은 초보 투자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PER, PBR의 정의부터 해석법, 투자에 활용하는 팁까지 정리해드릴게요!


1. PER이란?

주가수익비율 (Price to Earnings Ratio)

공식:

PER = 주가 ÷ 주당순이익(EPS)

📌 쉽게 말해,

이 기업의 주식을 사면, 이익으로 원금을 회수하는 데 몇 년 걸릴지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.

 

🔎 예시로 보기

  • A기업의 주가: 10,000원
  • A기업의 주당순이익(EPS): 1,000원

👉 PER = 10,000 ÷ 1,000 = 10

이 회사는 매년 1,000원을 벌기 때문에, 10년 동안 벌면 내 투자금이 회수된다는 뜻!

 

PER 해석 기준

PER 수치의미
10 이하 저평가 가능성 (단, 성장성 낮을 수도)
10~20 평균 수준
20 이상 고평가 가능성 (또는 고성장 기대 반영)
 

📌 단순히 낮다고 좋은 게 아닙니다!
낮은 PER이 저평가일 수도 있지만, 이익이 줄고 있는 회사라서 싼 경우도 많아요.


2. PBR이란?

주가순자산비율 (Price to Book Ratio)

공식:

PBR = 주가 ÷ 주당순자산(BPS)

📌 쉽게 말해,

회사를 청산했을 때 받을 수 있는 자산 가치와 현재 주가를 비교한 것입니다.

🔎 예시로 보기

  • B기업의 주가: 5,000원
  • B기업의 BPS(1주당 순자산): 10,000원

👉 PBR = 5,000 ÷ 10,000 = 0.5

이 회사의 장부상 가치는 10,000원이지만,
현재 시장에서는 절반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
는 뜻!

PBR 해석 기준

PBR 수치의미
1 미만 자산 대비 저평가 가능성 (혹은 시장 신뢰 부족)
1~2 평균 수준
2 이상 고평가 가능성 (혹은 미래 성장 기대 반영)
 

📌 특히 자산 비중이 큰 금융주·제조업에서 PBR 분석이 유용합니다.


3. PER과 PBR, 언제 어떤 걸 봐야 할까?


구분 PER PBR
기준 ‘이익’ 중심 ‘자산’ 중심
적합한 기업 성장주, 기술주 금융주, 제조업, 가치주
투자포인트 이익 성장성 청산 가치 대비 시장 가격
 

💡 PER은 수익성,
💡 PBR은 안전성(자산가치) 관점에서 본다고 이해하면 좋아요.


4. 초보자를 위한 활용 꿀팁

  1. 지표는 ‘단독’으로 해석하지 말 것!
    → PER·PBR 수치는 동일 업종 평균과 비교해야 의미 있음
  2. 성장주 vs 가치주 판단 기준으로 활용
    → PER이 높더라도 고성장 기업이면 합리적일 수 있음
    → PBR이 낮더라도 망할 위기라면 투자 대상 아님
  3. PER + ROE(자기자본이익률)를 함께 보기
    → ROE가 높고 PER이 낮은 기업 = 고효율 저평가 기업 가능성 ↑

5. 마무리 요약

✔ PER은 이익 기준의 가치 판단 지표,
✔ PBR은 자산 기준의 시장평가 지표입니다.

✔ 숫자만 보지 말고 업종 평균과 비교 + 기업 성장성 분석을 함께 해야

 

진짜 의미 있는 투자로 연결됩니다.

 

지표는 길을 알려주는 나침반일 뿐, 진짜 목적지는 기업 분석과 나의 투자 기준 안에서 찾는 것이에요 😊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