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, 재테크 연구소장 라일라입니다 😊
“아… 또 고점에 물렸어요.”
“뉴스 보고 샀는데 다음 날 급락하더라고요…”
“왜 산지도 잊은 주식이 포트폴리오에 있네요?”
📌 이런 실수, 주식 시작한 사람이라면 다들 한 번쯤 겪어보셨을 거예요.
이런 ‘반복되는 후회’를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은? 바로 ‘투자일지’ 쓰기입니다.
오늘은 주린이도 쉽게 시작할 수 있는 주간 투자일지 쓰는 법을 알려드릴게요.
매수/매도만 기록하는 수준이 아니라, 생각의 흐름과 전략까지 정리하는 방식이에요.
1. 왜 ‘주간’ 단위가 좋을까?
일간은 너무 자주 쓰다 지치고, 월간은 복기하기엔 기록이 부족합니다.
📌 주간 단위는 시장 흐름, 나의 판단, 주요 뉴스까지 적당한 밀도로 정리하기에 딱 좋아요!
2. 주간 투자일지, 이렇게 구성해보세요
✅ STEP 1: 시장 요약
- 이번 주 시장의 방향성 (상승/하락/횡보)
- 주요 뉴스 (금리, CPI, 실적 발표 등)
- 지수 흐름 (코스피, 나스닥 등)
📝 예시:
“이번 주는 미국 CPI 발표로 변동성이 컸다.
나스닥은 기술주 조정으로 1.8% 하락.”
✅ STEP 2: 내 포트폴리오 점검
- 보유 종목 수익률
- 종목별 변동 이유
- 리밸런싱 여부
📝 예시:
“삼성전자 5%, 테슬라 -3%, 팔란티어 +8%
테슬라는 로보택시 연기 소식으로 하락.”
✅ STEP 3: 사고팔 때의 판단 이유 기록
- 왜 샀는가? (뉴스, 차트, 실적 등)
- 언제 팔았고, 그 판단은 어땠나?
📌 감정에 휘둘리지 않으려면,
매수/매도 ‘이유’를 적어야 실수를 복기할 수 있어요.
📝 예시:
“넷플릭스, 지지선 21일선 터치 후 반등 노리고 매수.
단기 반등으로 6% 수익 후 익절.”
✅ STEP 4: 이번 주 나의 실수 or 잘한 점
- 충동 매수했는가?
- 계획대로 매도했는가?
- 손절 기준을 지켰는가?
📝 예시:
“잘한 점: 빠르게 리스크 감지하고 엔비디아 일부 익절.
실수: 고점에 HPSP 진입했다가 5% 손실.”
✅ STEP 5: 다음 주 전략
- 추가 매수할 종목 or 관심 종목
- 지켜볼 경제 이벤트
- 목표 수익률 or 리밸런싱 계획
📝 예시:
“다음 주 CPI 발표 주목.
반도체 ETF(SMH) 눌림목 진입 검토.”
3. 투자일지를 쓰면 이런 변화가 생겨요
Before (기록 전) | After (기록 후) |
“왜 샀더라…” | 🎯 매수 이유 명확하게 정리됨 |
“또 실수했네…” | 🔄 실수 패턴 파악 → 개선 가능 |
“계획 없던 매수…” | 🗓 매수 매도 모두 전략적 사고 전환 |
“결과만 봄” | 🧠 과정 중심의 복기 가능 |
4. 어떻게 작성하면 좋을까?
- 노션, 엑셀, 다이어리 모두 OK!
- 형식보다 ‘일관된 습관’이 더 중요합니다.
- 꾸준히 쓰는 것 자체가 투자 실력의 일부예요.
5. 마무리 요약
✔ 주간 단위 투자일지는 감정이 아닌 전략으로 투자하게 해줍니다.
✔ 기록은 기억보다 정확하고, 실수를 줄이는 가장 강력한 무기예요.
✔ 꼭 잘 쓴 글이 아니어도 됩니다. 솔직하고 일관되게 쓰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.
✔ 투자일지, 오늘부터 시작해보세요. 분명히 달라집니다!
'투자 입문 & 주식 기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&P 500 · 나스닥 · 코스피 ETF 핵심 비교 - 글로벌 vs 국내 시장, 어디에 투자할까? (7) | 2025.06.16 |
---|---|
ETF vs 펀드, 뭐가 더 좋을까? 초보 투자자를 위한 알기 쉬운 비교 가이드 (5) | 2025.06.15 |
첫 투자금 100만 원으로 시작하는 종목 분산법 (4) | 2025.06.13 |
자동투자 vs 직접투자: 나에게 맞는 투자 방식은? (3) | 2025.06.12 |
증권사 계좌 어디서 개설할까? MTS 수수료 비교 총정리 (6) | 2025.06.11 |